인공지능 예술창작에 대해 - 근대성의 긴장, AI 예술의 새로운 질문
어제 포스팅에서 AI예술의 고귀함에 대해 고민했다면, 오늘은 한 발짝 더 들어가 근대성의 긴장, 그리고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해 생각해본다. 근대성의 긴장 -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지금은? “마법을 깰 것인가, 혹은 인간의 경이로움을 고수할 것인가?” 계몽주의는 이성을, 낭만주의는 인간의 신비와 감정을 강조했고, 시대적 흐름속에서 이 두 상반된 가치는 갈등과 불안의 요소로 작용했다. AI 예술이 등장한 지금, 우리는 또다시 이 질문 앞에 선다. AI가 예술을 한다? 이건 마치, “네가 인간의 깊은 감정을 알아?”하고 인간이 기계를 폄훼하는 동시에, “아직도 인간만의 경이로움을 억지로 붙들고 있을래?” 하고 기계가 코웃음치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AI 효과: 결승점은 자꾸 뒤로AI가 점점..
더보기
내가 쓴 곡과 AI가 만든 곡, 어느 쪽이 더 고귀한가?
내가 직접 쓴 곡과 AI가 만든 곡, 어느 쪽이 더 고귀한가? 이 질문, 작곡가라면 이제는 한 번쯤은 던져봤을 법하다. 특히 요즘처럼 AI가 음악, 미술, 심지어 시까지 척척 만들어내는 시대라면 더더욱 그렇다.결과물만 본다면, 차이가 있을까?바흐 스타일로 AI가 만든 곡을 사람들이 진짜 바흐 작품으로 착각한 사례처럼, 결과물만 놓고 본다면 구별이 어려울 때도 많다. 청중 입장에서는 그 곡이 감동을 주고, 새로움을 느끼게 해준다면, 작곡가가 인간이든 AI든 상관없을지도 모른다.하지만, ‘고귀함’의 기준은 무엇인가?여기서 중요한 건 ‘고귀함’이라는 말의 기준이다. - 만약 예술의 가치를 ‘결과물’에서 찾는다면, AI든 인간이든, 감동과 새로움, 가치가 있다면 둘 다 고귀할 수 있다.- 반대로, 예술의 ..
더보기
긍정확언 수면 명상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게 참 오랜만이다. 대학에 전임교원으로 임용이 되고 나서, 말 한 마디, 글 한 줄이 더 무겁게 느껴졌다. 그래서 그동안은 괜히 신중해지고, 자연스럽게 블로그도 잠시 멈췄다. 바쁜 일정때문에 머리속 여백 없이,없는 창조력은 작곡에 총동원하여 쥐어짜는 일상이었고,가끔씩 푸념글은 인스타 개인계정에..곡발표 소식은 인스타 공식계정..하지만 요즘, 다시 내 일상의 작은 조각들을 기록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오늘은, 요즘 나를 편안하게 해주는 밤의 루틴— 수면명상과 긍정확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밤이 되면 머릿속이 유난히 시끄러워진다. 음악 작업, 일상, 그리고 말로 다 못 풀어낸 생각들과 후회들, 민망한 실수들이 나를 질책하며 어둠 속에서 웅성거린다. 적막함 속에서는 ..
더보기
음악동인 명 5회 연주회 - 정가악회
고 장정익 작곡가 문하생들로 구성된 음악동인 명에서 다섯번째 정기공연을 갖습니다. 이번에는 특별히 정가악회와 손잡고 국악기를 위한 현대음악을 창작하여 발표하는 무대를 올립니다. 저는 가야금과 거문고를 위한 “제 11차원”을 개작 초연 합니다! 프로그램 1. 조진옥 대아쟁 박혜림, 거문고 박다울, 해금 조은진 2. 진희연 소리 안민영, 타악 전현준 3. 신지수 가야금 원먼동마루, 거문고 박다울 4. 김정욱 여창 김윤서 왕희림, 피리 이향희, 대아쟁 박혜림, 가야금 원먼동마루 어진이, 타악 선우진영, 트롬본- 김재용, 정성우 휴식 5. 장정익 대금 김현수, 양금 방초롱 6. 임재경 생황 이향희, 타악 선우진영 7. 오세일 가야금 독주 - 어진이 8. 이나영 거문고 박다울, 해금 조은진, 타악 전현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