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예술창작에 대해 - 근대성의 긴장, AI 예술의 새로운 질문 어제 포스팅에서 AI예술의 고귀함에 대해 고민했다면, 오늘은 한 발짝 더 들어가 근대성의 긴장, 그리고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해 생각해본다. 근대성의 긴장 -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지금은? “마법을 깰 것인가, 혹은 인간의 경이로움을 고수할 것인가?” 계몽주의는 이성을, 낭만주의는 인간의 신비와 감정을 강조했고, 시대적 흐름속에서 이 두 상반된 가치는 갈등과 불안의 요소로 작용했다. AI 예술이 등장한 지금, 우리는 또다시 이 질문 앞에 선다. AI가 예술을 한다? 이건 마치, “네가 인간의 깊은 감정을 알아?”하고 인간이 기계를 폄훼하는 동시에, “아직도 인간만의 경이로움을 억지로 붙들고 있을래?” 하고 기계가 코웃음치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AI 효과: 결승점은 자꾸 뒤로AI가 점점.. 더보기
내가 쓴 곡과 AI가 만든 곡, 어느 쪽이 더 고귀한가? 내가 직접 쓴 곡과 AI가 만든 곡, 어느 쪽이 더 고귀한가? 이 질문, 작곡가라면 이제는 한 번쯤은 던져봤을 법하다. 특히 요즘처럼 AI가 음악, 미술, 심지어 시까지 척척 만들어내는 시대라면 더더욱 그렇다.결과물만 본다면, 차이가 있을까?바흐 스타일로 AI가 만든 곡을 사람들이 진짜 바흐 작품으로 착각한 사례처럼, 결과물만 놓고 본다면 구별이 어려울 때도 많다. 청중 입장에서는 그 곡이 감동을 주고, 새로움을 느끼게 해준다면, 작곡가가 인간이든 AI든 상관없을지도 모른다.하지만, ‘고귀함’의 기준은 무엇인가?여기서 중요한 건 ‘고귀함’이라는 말의 기준이다. - 만약 예술의 가치를 ‘결과물’에서 찾는다면, AI든 인간이든, 감동과 새로움, 가치가 있다면 둘 다 고귀할 수 있다.- 반대로, 예술의 .. 더보기
서제패 2025 - 초등학생 아이와 함깨 간 올림픽공원 서울재즈페스티벌 다녀온 후기 지난 주말, 오랜만에 서울재즈페스티벌(서재페)에 다녀왔다. 올림픽공원 잔디마당에서 열리는 대표 음악축제라 매년 갈까 말까 고민하는데, 올해는 11살 아이랑 남편이랑 총 셋이서 가족 관람을 해봤다. 입장료가 정말 쉽지 않은 가격인데, 솔로일때 못하고 이젠 셋이 가려니 티켓갚이….!!더 놀라운건 이 많은 사람들이 다 그 돈을 내고 들어가려고 술 서 있었다는것입장부터 자리 잡기까지나름 일찍 간다고 생각했는데 11시즘 도착해서 보니 입장 줄만 어마어마하게 길었다. 12시가 넘어서야 표를 팔찌로 바꾸고, 바로 88잔디마당으로 입장했다. 인기 많은 그늘 자리는 이미 사람들이 꽤 있었지만, 무대 왼쪽 나무 아래 쪽에 돗자리를 펴니 햇볕 걱정 없이 하루를 보낼 수 있었다. 전광판의 일부만 보이고, 가족단위의 관람객들의.. 더보기
‘알아두면 쓸데있는 경제 특강’ – 실전 경제 공부, 이제는 내 삶에도 필요하다 예술을 업으로 삼으며 살아오면서, 경제라는 단어는 늘 나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해왔다. 지원사업 정산이나 학교 행정에서 학과 예산을 관리할 때는 꼼꼼하게 숫자를 들여다보지만, 정작 내 가계경제나 은퇴자금 운용에는 무심했다. 투자는 그저 ‘투기’와 비슷한 어감으로만 여겨왔고, 남의 일로만 치부하며 지내왔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투자라는 게 단순히 돈을 불리는 기술이 아니라, 내 삶의 기반을 튼튼히 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행위라는 걸 조금씩 깨닫고 있다.이런 내게 성남시에서 준비한 ‘알아두면 쓸데있는 경제 특강’ 포스터는 꽤나 신선한 자극이었다. 평소라면 그냥 지나쳤을 법한 안내지지만, 이번엔 왠지 모르게 한 번쯤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이 강의들이.. 더보기